자동차는 구매 후에도 다양한 세금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재화입니다. 특히 중고차를 구입할 경우, 세금 구조가 신차와는 다르게 적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중고차 구매 시 발생하는 주요 세금 항목들을 상세히 정리하고, 세금 계산 방법과 유의사항까지 함께 소개합니다.
1. 중고차 구매 시 부과되는 주요 세금
중고차를 살 때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세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취득세
- 공채매입
- 인지세 (상사 거래 시)
- 자동차세 (연납 또는 잔여월 기준)
2. 취득세
자동차를 등록할 때 반드시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중고차의 경우 차량 연식과 가격에 따라 다르게 책정됩니다.
- 과세 기준: 차량 과세표준 × 7%
- 예시: 1,000만 원짜리 차량 = 약 70만 원의 취득세
3. 공채 매입
지역에 따라 지방채를 강제로 매입해야 하는 제도입니다. 일정 금액은 할인 매도되기 때문에 실질 부담은 다소 낮습니다.
- 서울: 공채 없음
- 경기도 및 기타 지역: 차량가액의 약 10% 내외
4. 인지세
상사 거래로 중고차를 구매할 경우, 매매 계약서에 따라 인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계약서 작성 시 2,000원 ~ 15,000원 수준
5. 자동차세 (자동차 보유세)
차량을 소유하면 매년 6월, 12월 두 차례 자동차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중고차 구매 시 잔여 월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부담합니다.
- 예시: 6월에 차량 구매 시 → 7~12월 세금 부과
6. 기타 유의사항
- 대리인이 등록할 경우: 등록대행 수수료 발생
- 중고차 가격에 포함된 부가세: 사업자 차량 거래 시 확인 필요
- 전산 등록 시 오류 발생 가능성: 등록 완료 후 증빙 확인 필수
![]() |
| 자동차 살 때 납부하는 세금 총정리 |
결론
중고차 구매 시 단순히 차량 가격만 고려해서는 안 됩니다. 취득세, 공채 매입, 자동차세 등 부가세 외 세금 항목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산을 설정해야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세무 전문가나 딜러와 함께 정확한 세금 견적을 확인한 후 계약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