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패스 카드 신청방법 및 주요 혜택 총정리(2025년 기준)

K‑패스 카드, 궁금하셨죠? 이 글에서는 K‑패스 카드 발급 방법, 주요 혜택, 그리고 카드사별 대표 혜택 비교까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지하철·버스 이용자라면 꼭 확인하세요!

1. K‑패스 카드란?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지하철·버스·광역버스·GTX 등)을 이용할 경우 다음 달에 이용금액의 20~53%를 자동 환급해주는교통비 절감형 카드입니다. (청년 30%, 저소득층 53%, 일반 20%) 

2. K‑패스 카드 신청 방법

  • ①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 2024년 6월 30일까지 K‑패스 앱/홈페이지 또는 기존 앱에서 전환 가능 
  • ② 신규 발급자: 농협·국민·신한·현대·삼성·하나·우리·BC·기업·DGB·카카오페이 등 카드사 지점 또는 앱에서 신청
  • ③ 회원 가입 / 카드 등록: K‑패스 앱 또는 `korea-pass.kr`에서 회원가입 → 발급받은 카드 등록
  • ④ 대중교통 이용 시작: 카드 사용 시점부터 자동 환급 적용 시작
K패스 카드 신청하기 및 혜택 정리


3. 발급처 및 카드사별 특징

  • 신한 K‑패스 체크카드: 버스·지하철 10% 청구 할인 + 간편결제·생활서비스 2% 추가 할인
  • KB국민 K‑패스 카드: 교통비 10% + 생활·통신요금 등 5% 할인, KB Pay로 추가 할인
  • 현대·NH 등 기타 카드사: 카드사마다 전용혜택 차별화 (연회비·전월실적 기준, 생활 할인 등) 

4. 혜택 요약 비교표

카드사교통 환급/할인추가 혜택연회비·조건
신한 체크10% 청구 할인간편결제·생활서비스 2%연회비 無
KB국민10% + KB Pay 추가생활·편의점·영화 등 5%국내 8천원
현대 Z 워크10% 교통 할인생활서비스 할인연회비 약 2만원, 전월실적 높음

5. 신청 팁 & 유의사항

  • 지자체별 추가 혜택 확인 (경기·인천·부산 등 지역 패스 연계) 
  • 후불교통카드만 지원, 선불형은 불포함
  • 기존 알뜰카드 유저라면 전환 시 혜택 격차 없음
  • 카드 발급 후 앱 또는 웹에서 꼭 K‑패스 가입·등록 필수

6. 카드 발급 및 등록 버튼

© 2025 참 쉬운 경제와 세금 이야기

댓글 쓰기

다음 이전

POST ADS1

POST AD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