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0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일부개정안을 의결하였는데, 이는 75년 만의 대규모 개편을 담고 있습니다. 개정안으로 바뀌는 부분 및 절세되는 부분 등을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개정안 통과 현황
2025년 5월 20일,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상속세 및 증여세법 일부개정안을 의결하였습니다. 이번 개정안은 1950년 상속세법 제정 이후 75년 만의 대규모 개편으로, 상속세 과세 체계를 기존의 유산세에서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개정안은 국회 제출을 앞두고 있으며, 통과 시 2028년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2. 개정안으로 바뀌는 부분
- 과세 방식 변경: 전체 상속재산에 과세하던 기존의 유산세 방식에서, 상속인별로 취득한 유산에 과세하는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 자녀 공제 확대: 다자녀 가구의 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녀 공제가 확대됩니다.
3. 이전보다 절세되는 부분
유산취득세 방식은 상속인이 많을수록 재산이 분산되어 각자의 과세표준이 낮아지므로, 다자녀 가구나 상속인이 많은 가구의 세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자녀 공제 확대를 통해 중산층 가구의 상속세 부담도 완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국회 통과 가능성
현재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유산취득세 방식에 대해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대선을 앞둔 시점에서 심도 있는 국회 논의가 어려운 상황이며, 정권 변화 시 개정안이 폐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개정안의 국회 통과 여부는 불확실한 상태입니다.
5. 개정안 이후 절세 방법
- 가족 구성원 수 고려: 상속인 수가 많을수록 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상속 계획 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자녀 공제 활용: 자녀 공제가 확대되므로, 자녀에게 상속할 경우 공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6. 개정안에 대처하는 방법
- 상속 계획 재검토: 개정안의 시행 시점과 내용을 고려하여 상속 계획을 재검토하고, 필요 시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세무 전문가 상담: 개정안의 세부 내용과 적용 방법에 대해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최적의 절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
| 25년 상속세 및 증여세 개정안 총정리 |
2025년 상속세 및 증여세법 개정안은 상속세 과세 체계를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전환하여, 다자녀 가구와 중산층의 세 부담을 완화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회 통과 여부는 불확실하므로, 납세자들은 개정안의 진행 상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